[스크랩] 와인:;프랑스 와인 스쿨
Culture | 佛 와인 스쿨에서 배우는 아주 특별한 와인 감별법 | |||
이코노믹리뷰 | |||
와인은 단순히 유명도나 가격, 와이너리의 브랜드만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좋은 와인의 선별과 평가는 늘 까다롭고 신경 쓰이는 일이다. 단순히 보고 마시는 것뿐 아니라 주위 환경과 빛, 소리, 언어(말), 분위기(날씨, 공간 인테리어 등)에 의해 좌우되기도 한다. 소믈리에와 와인 평가사를 키우기 위해 국내에 프랑스 와인 스쿨(Ecole du vin France)이 생겼다. 9월 개강에 앞서 소믈리에 협회 회장 공승식 원장이 소개하는 아주 특별한 와인 감별법을 미리 엿들었다. 적·청 불빛을 통한 테스팅 와인의 색깔만 가지고도 와인의 상태, 생산지역, 그리고 대략의 맛까지 구별해 낼 수 있다. 그만큼 와인의 색깔은 많은 정보를 담고 있다. 먼저 와인이 깨끗하고 선명한지, 그리고 어떤 색깔을 띠는지를 살핀다. 화이트 와인은 약간 초록 빛을 띠는 담황색이거나 엷은 황금색이다. 레드 와인은 처음에는 짙은 자주 빛이었다가 숙성되면서 루비나 석류빛이 된다. 오크에서 오래 숙성시킨 와인은 벽돌색처럼 짙어진다.
프랑스 와인 스쿨에서는 단순한 형광등 아래서 진행되는 시음 훈련이 아니라 적색과 청색 감별법을 추천한다. 적색과 청색 불빛 아래 비춰보면 일반 형광등이나 자연광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와인의 빛깔을 구별할 수 있게 된다. 또 와인 색의 광도와 투명도를 더욱 정확히 판별할 수 있다.
숙성된 지 얼마 안 되는 신선한 레드 와인은 제비꽃이나 체리색, 루비색을 띤다. 적색 조명 아래 비춰 보면 그 광택이 선명해 지고 붉은색의 탁함과 흐림을 보다 선명하게 느낄 수 있다. 고급 등급의 와인일수록 붉은 조명 아래서 영롱한 루비빛을 경험할 수 있다. 숙성기간이 오래된 와인의 경우 암홍색, 벽돌색, 갈색, 호박색 등으로 변해 간다. 등급이 낮은 와인의 경우 투박한 붉은빛이 드러남을 알 수 있다. 청색의 불빛에 비추면 와인의 붉은빛은 그 광도를 더 선명하게 느낄 수 있다. 오랜 숙성을 거친 암홍색이나 벽돌색 와인의 경우 짙은 와인의 빛이 더욱 선명하게 살아나는 것. 또 등급이 낮은 와인에서 생길 수 있는 침전물의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다. 일반 레스토랑이나 바에서 적·청 조명 감별법을 이용해 보고 싶다면 붉은색이나 청색 냅킨을 이용해 형광등에 비춰 보면 보다 섬세한 와인의 빛깔을 구별할 수 있다. 무엇보다 와인의 색깔은 선명하고 밝아야 하며 탁하거나 흐릿해서는 안 된다.
소리를 통한 테스팅 다양한 음악을 바탕으로 음악과 그 음악이 표현하는 맛이 일치하거나 일맥상통하는 점을 찾는 심층 탐구 훈련법이다. 이는 단순한 와인 테스팅이 아닌 와인 평가의 일환으로 생각하면 된다. 프랑스 폼므롤(Pomerol)지역의 그랑 크뤼인 ‘비유 샤또 세르탕(Vieux Cha teau Certan)’ 1970년의 경우,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의 첼로를 위한 콘체르토 C 마이너와 강한 생명력과 투명한 에너지의 표현이 일맥상통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 각광 받는 칠레, 스페인 등의 제3세계 와인의 경우 가벼운 재즈 음악이나 리듬감이 있는 스윙이 테스팅 시 도움이 된다. 냇 킹 콜의 ‘Jazz On Cinema with Nat King Cole’과 브라이언 페리의 ‘As time goes by’는 가벼움과 강함이 동시에 공존하는 칠레와 스페인 와인의 특징을 잘 느낄 수 있도록 도와준다.
조금 더 현대적인 스타일의 미국, 호주 등의 신세계 와인은 세련된 R&B 음악으로 그 맛과 향을 평가할 수 있다. 프랑스 등지의 정통적인 와인 생산국과 달리 대중적인 입맛을 강조한 것이 미국·호주의 와인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프랑스·이탈리아 등 정통 와인에 익숙한 와인 애호가들은 신세계 와인을 테스팅 할 때 객관적인 테스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듀크 조던의 ‘Flight to the Denmark’와 Maxwell 1집 ‘Ma xwell’s Urban Hang Suite’은 정통 기본 와인에 길들여진 입맛을 누그러뜨려 주는 역할을 한다.
화이트 와인의 경우에는 비트가 강하지 않은 하우스나 레이브 음악으로 싱그러운 아로마 향을 즐길 수 있도록 도와준다.
언어적 접근을 통한 테스팅 다양한 언어적 인식이 와인 테스팅 중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도 높은 학습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단순히 심리적으로 느끼는 시음 와인의 평가가 아닌 반복학습을 통해 언어가 미치는 와인을 테스팅함으로써 연구·학습하고 훈련하는 목적을 지닌다.
홍미경 기자(blish@nate.com) |
071018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