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스크랩] 와인:;와인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들에핀국화1 2008. 1. 10. 11:08

인 맛을 보고 그 와인을 평가하고 인정한다는 것이 많은 사람들이 와인을 마시게 하는 이유가 될 것입니다. 또한 이것은 그리 쉬운 일도 아닙니다.

그러나 특별할 것도 없습니다.

와인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여러 복잡한 방법들이 있겠지만 여기에 서는 쉬운 방법으로 와인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 들을 나열했는데 여러분에게 유용하게 쓰이기를 바랍니다

                         



 

와인의 맛을 평가하는 데에는 세 가지의 기본 요소가 있는데
처음에는 와인의 색을 보고,  그 다음에는
와인의 향기,  마지막으로 와인의 맛을 봅니다. 





색은 빈티지(포도수확기), 와인종류, 숙성기간, 스타일에 따라 다릅니다.

와인의 색을 먼저 보게 되면 와인의 종류와 와인이 얼마나 오래 되었는지

혹은 변질이 되지는 않았는지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먼저 와인 잔을 들어 흰 백지에 비추어 보든지 밝은 빛에 비추어서 와인의 색을 보시기 바랍니다.


화이트 와인

  • 창백한 노란색을 띠는 와인 종류
       샤블리(Chablis), 독일산 리즐링(Riesling),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 볏짚의 색깔을 띠는 와인 종류
       게뷰르쯔트레미너(Gewurztraminer), 슈넹 블랑 (Chenin Blanc), 리즐링
       (Riesling)
     
  • 버터 색깔과 유사한 와인 종류
       샤도네(Chardonnay), 프랑스산 버건디 (Burgundy)
     
  • 금빛과 유사한 와인 종류
       디저트용 와인종류, 숙성이 많이 된 화이트 와인들

레드 와인

  • 핑크색 이나 보라색을 띠는 와인 종류
       페티트 쉬라(Petite Sirah)
     
  • 진한 적색을 띠는 와인 종류
       까베르네 소비뇽(Cab Sauvignon), 보르도 지역 와인들, 멜로(Merlot)
     
  • 밝은 적색을 띠는 와인 종류
       피노 누아(Pinot Noir), 버건디(Burgundy)
     
  • 보라빛을 띠는 밝은 적색 와인 종류
       보졸레 지역 와인

와인의 농도

레드 와인에 있어서 농도는 불투명한 색에서 투명한 색까지 있는데
오래된 와인 일수록 와인잔 끝부분을 보면 약간 갈색빛을 띠게 됩니다.

투명성

투명하고 반짝 반짝 빛이 나는지 혼탁한지를 구분합니다.

혼탁하다면 변질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전문가의 이야기에 따르면,

와인의 향기는 와인에 대해 좀 더 많은 것을 말해 준다고 합니다.

와인의 부케는 통상 여러 성격의 포도 종류를 구분하여 줍니다.

그 와인의 부케를 맡아서 알기 위해서는 먼저 와인이 든 잔을 돌려서 와인이 와인잔 표면적에 점차 넓어지면 천천히 코로 깊게 와인의 향기를 맡아봅니다.

 

와인 종류에 따라 아래와 같은 향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화이트 와인

  • 샤도네(Chardonnay)
        배, 사과, 파인애플, 멜론, 레몬, 바닐라, 클로버
     
  • 슈넹 블랑(Chenin Blanc)
        배, 복숭아, 잘익은 멜론, 레몬, 셀러리
     
  • 게뷰르츠트레미너 (Gewurztraminer)
       장미, 리치향
     
  • 리즐링(Riesling)
       녹색사과, 살구, 복숭아, 꿀
     
  •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자몽, 레몬, 신선향 허브향, 잔디향, 연기, 부싯돌
     
  • 세미용(Semillion)
       잔디, 레몬, 땅콩, 버터  
     
  • 비오니어(Viognier)
       살구, 신선한 꽃향기

레드 와인

  • 까베르네 소비뇽 (Cabernet Sauvignon)
        나무, 시가 박스, 민트, 블랙 커런트, 클로버, 계피향, 고추, 올리브, 쵸코렛, 크림향
     
  • 가메이(Gamay)
       신선한 딸기, 딸기소다, 계피 크림
     
  • 그리나슈(Grenache)
       토양, 검은 후추, 오얏, 커피, 매운향
     
  • 멜로(Merlot)
       쵸코렛, 바이올릿, 오렌지, 오얏, 블랙
     
  • 피노 누아(Pinot Noir)
       나무연기, 습기찬 토양, 버섯, 딸기, 헛간냄새,크림향
     
  • 산지오베제(Sangiovese)
       담배, 연기, 매운향, 건포도
     
  • 쉬라(Sirah)
       검은 후추, 블랙베리쨈, 블랙베리, 오렌지, 오얏
     
  • 템프라닐로(Tempranillo)
       토양, 버섯, 나무
     
  • 진판델(Zinfandel)
       라스베리, 쵸코렛, 블랙체리, 클로버. 검은후추

변질된 와인
식초향, 흙, 고무, 석유, 양배추, 황, 생선, 젖은모, 메니큐어 에나멜, 젖은카드보드, 콜크향, 곰팡이냄새

 

 

마지막으로,

와인의 맛을 봄으로서 와인의 종류와 생산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와인의 빈티지와 스타일까지 이야기할 수 있다고 합니다.

맛을 보기 위해서는 약간의 와인을 입에 넣고 치아 사이로 공기를 들이켜서 잠시 동안 와인을 혀의 중간에 두고  와인의 특성을 느껴보도록 합니다.

그러면 6가지 정도의 와인의 특성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신선함, 꽃향기, 과일향, 매운향, 토양, 연기, 버터, 땅콩, 콜크,곰팡이

산도

화이트 와인인 경우

  • 산도가 강한 경우 : 드라이함, 산뜻함, 짜릿함
  • 중간 정도의 산도인 경우 : 산뜻함, 짜릿함
  • 낮은 산도의 경우 : 달콤하고 원숙하다

타닌산

레드 와인인 경우

  • 높은 타닌 : 휘발성이 강한 쓴맛, 드라이하다
  • 낮은 타닌 : 부드러우며 마시기가 쉽다

바디(Body)/웨이트(입안에서 느끼는 와인의 중량)

꽉찬 듯(Full) 하거나 중간정도(Medium) 혹은 가벼운(Light) 느낌

오크
오크나무 성분이 있는지 없는지 구분

마무리
와인을 맛보고 난 후에 입안에 머무는 느낌의 길이

이제 여러분은 위에 서술된 특성으로 취향에 따라 와인을 쉽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071008옮김

 

 

 

출처 : 서라벌블로그입니다
글쓴이 : 서라벌 원글보기
메모 :